가상메모리가 16GB 정도가 필요하다는 가정하에 만들고 지우는거 까지 정리해보았습니다.
환경은 CentOS7.x 이며, root 로 로그인한 상태입니다. 만일 root로 로그인하지 않는다면, sudo
명령을 통해 처리하시면됩니다.
- 스왑파일 생성하기
블록 사이즈는 1,024 로 하여 16GB(=16,777,216) 로 파일을 생성하겠습니다:
$ dd if=/dev/zero of=/swapfile bs=1024 count=
16777216
- 스왑파일로 설정하기
$ mkswap /swapfile
- 스왑파일 즉시 적용하기(선택사항)
위에서 만든 스왑 파일을 적용해보겠습니다.
$ swapon /swapfile
- 등록하기
3번을 처리하면 즉시 반영되지만, 재부팅하면 반영되지 않습니다. 이 부분을 처리하는 내용입니다.
$ vim /etc/fstab
편집기로 들어가서 아래의 내용을 가장 밑에 입력합니다.
/swapfile swap swap defaults 0 0
이렇게 하면 재부팅을 해도 반영이 됩니다.
- 확인하기
$ free
기존의 가상메모리 + 16GB 가 추가된 것을 확인 하실 수 있을겁니다.
- 해제하기
즉시 해제:
$ swapoff -v /swapfile
재부팅시 해제는 4번에서 추가한 내용을 #
으로 주석처리하거나 지우시면됩니다. (vim command: dd
)
그리고 최종적으로 파일을 삭제하시면됩니다.
$ rm -f /swapfile
참조
반응형
'서버관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NGINX] Binary Upgrade without downtime service (0) | 2020.03.25 |
---|---|
[설정] Docker 컨테이너 내부의 Nginx 에서 Cache 문제 (0) | 2017.04.20 |
웹사이트가 접속이 안되던... (0) | 2017.01.20 |
Elasticsearch 하이재킹을 당하다. (0) | 2017.01.15 |
[CentOS] Apache와 Tomcat 연동 (2) | 2010.12.01 |